대간,정맥,기맥 산행기록/백두대간(완료) 49

백두대간 해설 및주요산과 봉우리

백두대간 전도 백두대간 [白頭大幹] (한국 산맥 | 브리태니커) 한반도의 뼈대를 이루는 산줄기. 백두산에서 남으로 맥을 뻗어 낭림산·금강산·설악산·오대산을 거쳐 태백산에 이른 뒤 다시 남서쪽으로 소백산·월악산·속리산·덕유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국 산의 큰 줄기를 망라한 산맥이다. 즉 한반도 산계의 중심이며, 국토를 상징하는 산줄기로서 함경도·평안도·강원도·경상도·충청도·전라도에 걸쳐 있다. 〈산경표 山經表〉에 보면 한국의 산맥은 1개 대간(大幹), 1개 정간(正幹), 13개 정맥(正脈)의 체계로 되어 있고, 이러한 산경개념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잘 표현되어 있다. 선의 굵기 차이로 산맥의 규모를 표시했는데 제일 굵은 것은 대간, 2번째는 정맥, 3번째는 지맥, 기타는 골짜기를 이루는 작은 산줄..

진부령-미시령.20130613

백두대간 구간 종주기(산악회) 산행일시 : 2013년 6월 13일 목요일 날씨 구름많음 산행코스 : 진부령-마산봉-병풍바위봉-암봉-대간령-869.5봉-신선봉-상봉-샘터-미시령 (거리 : 15.6km, 소요시간 : 9시간00분) 산행개요 : 오늘은 백두대간 마지막 출정일이다. 만 3년만에 마지막 구간인 미시령-진부령 구간에 그동안 개인적으로 빠진 구간을 보충하며 함께 하였던 산우님들의 졸업식에 맞추어 종주하게되니 그분들과 무사 완주의 기쁨을 함께 나누게 되었다. 나는 사진만 찍고 먼저 출발한다. 이 구간은 2006년 9월에 명산 산행으로 등반한 경험이 있으나 대간 코스로 다시 가는데 처음 가는 길 같이 코스가 별로 기억에 없다. 알프스 리조트는 폐업한지 오래 인것 같았고 마산봉 오르는 급경사는 인부들 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