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간,정맥,기맥 산행기록/백두대간(완료)

한계령-마등령-백담사.2013067~8

학현 2013. 6. 9. 21:19

 

백두대간  구간 종주기(나홀로)

 

산행일시 : 2013년 6월 7~8일(1박2일)    금~토요일    날씨 맑음

 

산행코스 : 1일차 : 한계령-서북릉삼거리-끝청-중청-대청봉-소청-희운각(1박)

                             (거리 : 10.63km, 소요시간 : 7시간05분)

                2일차 : 희운각-무너미고개-신선대-1275봉-나한봉-마등령삼거리-오세암-만경대-영시암-백담사

                          (거리 : 12.1km, 소요시간 : 9시간05분)

                총거리 : 대간 :15.33km+탈출7.4km=22.73km, 총소요시간 : 16시간10분                        

 

산행개요 : 이번 구간은 한계령~ 마등령 구간이다.  이 구간은 전에 여러번 종주한 경험이 있어서 친근한

         구간 이지만 서북릉선의 너덜바위 구간과 소청에서 희운각까지 급경사 내리막 길은 작은 실수로도

         큰사고를 당할 수 있고 공룡능선은 등산로가 많이 정비 되었다 고는 하나 바위 직벽구간을 여러곳 통과

         하여야 하기 때문에 만만이 볼수없는 구간이다. 몇일 전부터 대피소 예약란을 검색한 결과 희운각대피소

         한 자리를 예약할 수있었다. 동서울 터미널에서 아침6시40(추가편성)에 출발한 버스는 한계령에

         8시55분에 도착한다. 휴게소에서 늦은 아침을 먹고 9시15분에 대청봉을 향한다.   

         1박을 하는 관계로 버나,코펟을 챙기니 배낭무게가 10kg가 넘고 30도가 넘는 날씨는 산행을 더욱 힘들게

         한다. 다행이 등산객이 많아 같이 보조를 맞추며 나아가니 외롭지는 않다. 백두대간 종주를 목적으로 하는 

         산행인 만큼 부드러운 점봉산이 다시 보이고  대청봉 공룡능선이 신선대, 나한봉, 천화대를 세우고 천불동,

         가야동 계곡을 만든것 뿐 아니라   한반도 산경표상의 중추적인 백두대간 능선으로 당당히 그 위용을

         세우고 있으니  이것이 산악인이 자주 찾는 자랑스러운 우리의 설악산이다.     

         마등령 삼거리에서 대간 종주를 마치고 오세암을 지나 만경대에 올라 보니 용아장성릉을 포함한 내설악이

         한눈에 들어온다. 옆에 두고도 올라보지 못한 곳, 오늘 하산 코스를 오세암 백담사로 잡은 것도 이곳

         만경대에 오르기 위함이었다. 수렴동 계곡을 따라 백담사에서 오늘 산행을 마무리 하고 셔틀버스로

         용대리로 내려와 큰도로 건너 정거장에서 16시 동서울행 버스로 상경하였다.

 

 첫째날

 

 08:55   한계령 휴게소

         추가편성된 오색행 버스라 승객 대부분이 등산객이다. 승객 반 이상이 이곳에서 내린다. 

          휴게소에서 국밥을 먹었는데 맞이 그전만 못하다.             

 

  산세가 아름다워 1596년 선조실록에 처음으로 오색령으로 불리었다고....         

 

 09:15   등산로 입구          

 

 09:20   전망대에서   

 

 

 10:07    표지목이 2개이다.  

            앞으로는 119구조 위치 표지목을 기준으로 산행 포인트를 잡는 것이 좋을 것같다.               

 

 

 

       산앵도

 

       벌깨덩굴    

 

         박새  

 

       눈개승마          

 

         괴목              

 

 

        정향나무 

 

 

 바위는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모습이다. 

 

      UFO바위      

 

 10:58    서북릉삼거리          

 

 점봉산을 배경으로 한컷...                

 

        큰앵초         

 

   

        자주솜대(멸종위기식물이란다)          

 

        큰앵초 군락          

 

        금강애기나리          

 

 11:14    설악 09-06        

 

 

        나도옥잠화          

 

11:42    설악 09-07        

 

        금마타리           

 

        눈개승마          

 

          둥굴래           

 

12:13      1456m봉   

 

       점봉산

 

       가리봉, 주걱봉

 

        세잎종덩굴           

 

        요강나물           

 

 

12:24   설악 09-09      

 

         풀솜대         

 

         큰앵초          

 

12:44    설악 09-10(1461m봉)        

 

         두루미꽃           

 

        은방울꽃          

 

        금마타리          

 

        사시나무가 만든 개선문             

 

13:22    설악 09-12

 

        벌깨덩굴           

 

13:37   끝청

  

 

       귀때기청  좌로 가리봉

 

        양양 방향은 구름에 덮여있다.  

   

 

        용아장성릉 뒤로 공룡릉선 

   

 

         용아장성릉 아래 봉정암       

 

        중청, 좌로 소청            

 

 

        귀룽나무

 

        말머리 고사목          

 

 

 

14:28     중청대피소 

             중청대피소는 전에 여러번 숙박을 하였던 곳이다. 오늘은 희운각대피소를 예약하였다.     

 

  원래 대간길은 대청봉 아래 이표지판 뒤로 희운각까지 내려가야한다..  그러나 지금은 출입금지 되어 소청으로 돌아

  가야한다.             

 

14:55      대청봉   

            한참을 기다려 인증사진을 남기고.     

           주위 전망이 아름다워 돌아가며 카메라에 담았는데!!!!!!        

 

        외설악은 구름속에 묻혔다.    

 

         점봉산     

 

        가리봉      

 

 

 

 

 

 

       눈잦나무

 

15:32     소청봉

             좌로는 봉정암, 우측으로는 희운각 갈림길

 

 

     화채봉

        언젠가는 꼭 가봐야할 화채봉.   지금은 출입통제 구역이다.                  

 

         공룡능선

  

 

 대청봉에서 희운각까지 대간능선 출입이 통제되는 관계로 가야동계곡의 상류인 이 다리를 건너야한다.   

  다리를 건너면  바로 희운각대피소.      

 

16:20     희운각대피소               

       희운각(喜雲閣)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한국산악회 소속 제1기 에베레스트 원정대가 히말라야 원정을 위하여 설악산 죽음의 계곡에서 동계 

       등반훈련 중 1969년2월14일 눈사태를 당하여 대원 전원(10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후 희운(喜雲) 최태목 선생이 사재를 털어 이곳에 대피소를 건립 하였다고한다.  

     희운선생의 숭고한 마음이 담긴 이곳에서 하룻밤을 쉬어간다.                       

 

 산행을 마치고 마주하는  酒 한잔. 별볼일 없는 주안상 이지만 이순간  만큼은 모든것이  부럽지 않네!!!

 

둘째날

 

6:17     희운각대피소 출발     

 

  신선대 

    오르는 길이 급경사, 로프를 잡고 올라야한다. 첫번째 고난의 길. 

 

6:24      무너미고개  

         우측은 천불동계곡     

 

 정향나무(수수꽃다리,산라일락)  

   서양인이 우리 산하의 이 나무를 가지고 나가 정원수로 개량하여 타자수로 일하던 미쓰김 호칭을 붙여 미쓰김라일락 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우리  정원에 자리를 잡았다는 씁쓸한 이야기를 가지고있다.  오늘 산행내내 향기에 취하게한다.    

 

06:50   설악03-08   신선대 

             힘들게 신선대에 오른다. 한고비 통과.    

 

 1257봉 우측 범봉       

 

신선대 해골바위  

 

신선대 바위봉

 

  외설악 구름바다          

 

        난장이붓꽃          

 

        만주송이풀         

 

 정향나무 

   공룡릉선 산행 내내 정향나무 향기가 가득하다.        

 

 

 우뚝솟은 바위봉(1257봉) 좌측 안부로 넘어가야한다.                   

 

 

        산앵도나무         

 

07:18    설악03-07       

 

 

     공룡능선은 바위가 주인이다.

 

 

       금강봄맞이꽃          

 

 

 

 

 

 

 

 

      산솜다리(에델바이스)          

 

 

        인가목(산해당화)          

 

         종덩굴

 

 

       요강나물          

 

07:51      설악03-06  

 

08:02      샘터     

          식용으로는 부적합 할 것같다.

 

 

 

 

 

  1257봉 급경사 오름길      

 

       산솜다리          

 

 스쳐온 바위봉들   

 

 설악조팝나무(옛이름,설악아구장나무)      

 

08:39     1257봉 안부  

             암봉을 오르면 공룡릉선 중 전망이 최고로 좋다고 하는데 급경사라 위험하다. 오늘도 오르지 못하고.

             20분간 쉬어만 간다.

 

 

 

 

 

 

 1257봉 출발 

  

 

         돌단풍

 

 

        금강봄맞이꽃

 

   

 

        울산바위

 

 

 

 

 갸야만 하는길 

    힘들다 생각하면 더욱 힘들어 진다. 길이 있으매 나는 간다는 긍정적인 마음으로 백두대간 지리산 천완봉에서 여기까지 왔다.         

 

10:07      설악03-02  

 

 

 

 

 10:41   설악03-01       

 

 

      뾰족한 바위봉은 세존봉     

 

         큰앵초

 

 

 

 

         말나리         

 

        꿩의다리

 

 

        붉은병꽃

 

  

        가막살나무???                

 

 11:00   마등령삼거리      

 

        화채봉

 

       산괴불주머니     

 

 

        꿩의다리

 

 

        박새          

 

 

        멧돼지 흔적     

 

 

 

        함박꽃(산목련)          

 

 

 

 

 

 12:18   오세암  

          스님과 5살먹은 조카의 전설이 서려있는 곳.  

          절에서 공양하는 미역 국밥으로 점심을 해결한다. 나무관세음보살.   감사 감사 감사...

 

    동자전

 

 

 

 

         붓꽃         

 

  만경대는 출입 금지     

 

 만경대       

    내설악을 모두 볼 수있다.   

 

 중청봉을 중심으로 좌로 공룡릉선, 가운데가 용아장릉,  우측뒤로 서북릉선, 가운데 계곡이 가야동계곡.

  

 

 

        오세암       

 

       줌으로 당겨보고.

 

       용아장성릉은 봉정암 사리탑에서 시작되고 끝봉은 옥녀봉, 뒤가 서북릉선       

 

 

 

 

 

        산골무꽃     

 

 

 

13:50    영시암     

 

 영시암 앞 계곡 검은 바위는 화산재가 퇴적되어 생긴 바위라고한다???          

 

       할미밀망  

 

 

 

 

 

 15:20   백담사          

 

 

'대간,정맥,기맥 산행기록 > 백두대간(완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종주 실행기록   (0) 2013.06.18
진부령-미시령.20130613  (0) 2013.06.15
대관령-진고개.20130521  (0) 2013.05.22
죽령-묘적령.20130501  (0) 2013.05.03
대미산-벌재.20130426  (0) 2013.04.28